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0

(심화)소액으로 시작하는 공모주 투자 완벽 가이드 1. IPO(공모주)의 흐름 한 컷 정리공모주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지 순서대로 정리해보겠습니다.기업: 돈(자본) 필요 → 상장 준비, 희망 공모가 밴드 제시(예: 18,000~22,000).주관사(증권사): 기업 실사·설명서 작성·마케팅.기관 수요예측: 연기금·자산운용사 등이 “얼마에 몇 주 살래?” 제출 →결과로 최종 공모가 확정(보통 밴드 상단/초과로 결정되기도 함).기관이 일정기간 안 팔겠다는 의무보유확약 비율도 함께 공개.일반청약(개인): 투자자가 증권사 앱에서 신청, 증거금(통상 청약액의 50%) 납입.배정: ‘균등 + 비례’ 방식으로 물량 나눔(아래 2번에서 자세히 다룹니다).환불: 못 받은 물량의 증거금은 환불.상장일: 첫 거래 시작. 시초가는 공모가의 90~200% 범위에서 형성(한국거.. 2025. 8. 12.
(기본)소액으로 시작하는 공모주 투자 완벽 가이드 최근 주식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공모주 청약입니다. ‘따상(공모가 2배 시초가 + 상한가)’이라는 달콤한 단어와 함께, 소액 투자자도 단기간에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으로 꼽히죠. 하지만 무조건 돈을 벌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모주 투자의 원리부터 수익 구조, 청약 방법, 종목 선정 전략까지 실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1. 공모주란? – 초보도 이해하는 IPO 원리공모주는 기업이 상장(IPO, Initial Public Offering) 전에 일반 투자자에게 주식을 공개 모집하는 것입니다. 상장 전 기업은 주관 증권사를 통해 ‘희망 공모가 밴드’를 제시하고, 기관 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거쳐 최종 공모가를 확정합니다. 이후 일반 투자자는 청약 기간에 증거금을.. 2025. 8. 11.
국가 빚은 결국 내가 갚는 걸까? – '인당 45만 원'의 진실과 청년세대 부담 논쟁까지 2025년 추경안을 위해 정부가 23조 원 규모의 국채를 발행할 예정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일부 언론과 정치권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이 등장했습니다.“국민 1인당 45만 원씩 더 내야 한다!”언뜻 들으면 무시무시한 숫자지만, 과연 이 주장은 정확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국채 발행과 세금의 연결 구조, ‘인당 부담금’ 계산의 허점, 그리고 청년세대가 실제로 부담을 떠안게 되는지까지 구조적으로 짚어봅니다. 1️⃣ 국채 = 국가 빚 → 세금으로 갚는 건 맞다, 하지만…국채란 정부가 민간(국민/기관 등)에게 돈을 빌리는 것입니다. 이자는 매년 예산에서 나가고, 원금은 만기가 되면 갚아야 하죠. 이때 상환 재원은 대부분 세금입니다.이 구조만 보면 “국가 빚 = 국민이 세금으로 갚는다”는 주장은 맞습니다. 하지만 현.. 2025. 7. 19.
금리 오르면 주식은 왜 떨어질까? – 금리 상승기의 투자 전략 비교 분석 정부가 추경을 발표하고, 국채를 많이 발행하면 금리가 오릅니다. 그런데 그 여파는 주식시장에도 빠르게 번집니다. “금리”는 자산시장 전체를 흔드는 핵심 변수이기 때문이죠. 1️⃣ 금리 상승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금리가 오르면 기업과 개인은 모두 '돈을 빌리기 더 비싸게' 됩니다. 기업의 이자 비용 증가, 소비 둔화, 투자 위축이 이어지면서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가 줄어들고, 주가는 하락 압력을 받습니다.또 하나 중요한 구조적 이유가 있습니다: 주식의 가치는 미래 수익의 현재가치입니다. 금리가 오르면 할인율이 커지고, 현재가치는 작아집니다.➤ 금리 상승 → 할인율 상승 → 기업가치 하락 → 주가 하락특히 성장주·기술주·고PER 종목은 미래 기대수익이 크기 때문에 금리에 매우 민감합니다. 2️⃣ 금리 상승.. 2025. 7. 19.
추경하면 왜 금리가 오를까? – 국채 발행과 금리 상승의 메커니즘 완전 정리 정부가 추경(추가경정예산)을 발표하면, 시장에서 국고채 금리가 오르는 현상이 자주 관찰됩니다. 단순히 “정부가 돈을 더 쓴다”는 말인데, 왜 금리가 오를까요? 이 글에서는 금리, 채권, 수요·공급, 시장 심리가 얽힌 구조를 차근차근 해설합니다. 1️⃣ 추경은 왜 시장을 흔드는가?추경이란 본예산 외에 정부가 추가로 예산을 짜는 것입니다. 주로 경기 침체, 자연재해, 고용 위기 같은 이유로 편성되죠.정부가 예산을 더 쓴다는 것은 → 추가 재원이 필요하다는 뜻이고, 그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는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초과세수 활용기금 전용국채 발행 (가장 보편적)바로 이 “국채 발행”이 시장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2️⃣ 기준금리 vs 국채금리 – 누가 정하고 왜 다를까?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 2025. 7. 19.
수익률 곡선이란? – 경기 침체 신호부터 투자 전략까지 완전 정복! 수익률 곡선(yield curve)은 채권의 만기별 금리를 선으로 연결한 그래프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국고채(국채)' 금리를 기준으로 만기 1년부터 30년까지를 나열해 선을 그리죠.이 곡선은 단순한 선이 아닙니다. 경제의 체온계이자 나침반이라 불릴 만큼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죠. 왜냐하면 시장은 '앞으로 금리가 어떻게 움직일까?', '경기는 좋아질까 나빠질까?'를 수익률 곡선을 통해 미리 예측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 수익률 곡선의 3가지 형태: 정상 · 플랫 · 역전수익률 곡선은 크게 3가지 모양으로 나뉩니다.정상 곡선: 만기가 길수록 금리가 높음 (건강한 성장 기대)플랫(flat) 곡선: 단기·장기 금리가 거의 같음 (불확실성 확대)역전(inverted) 곡선: 장기 금리가 단기보다 낮음 (경기침체.. 2025. 7. 19.